ETF, 채권

[미국 금 ETF ] GLD 주가 및 수수료

침팬지투자법 2021. 4. 17. 01:09
반응형

안녕하세요 침펜지 투자법입니다. 오랜만에 이렇게 ETF 관련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요새 최근들어 암호화폐 시장으로 자금들이 많이 쏠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비트코인은 8천만원 넘었고 이더리움도 3백만원이 넘게 되면서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우리나라 시세는 다른 나라의 시세의 비해서 5%에서 10%정도 높게 책정이 되어 거품이 아니냐는 우려도 존재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안정적인 시장 속에서 불안함을 느끼셔서 안전자산에 투자 하고 싶으신 분들도 분명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안전자산 중에 가장 사람들이 선호하는 자산 중에 하나는 금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금 자체는 실물 자산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커다란 금고가 있지 않은 이상 많은 금을 투자하기를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소개 드릴 ETF는 위에서 설명드린 금과 관련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ETF는 GLD ( SPDR Gold Trust) 입니다. 

 

 

 

 

 

기본설명 

2004년도 11월에 처음 발행된 GLD는 실물 금의 시세를 추종 하는 첫번째 ETF입니다. S&P 500을 추종하는 가장 유명한 ETF중 하나인 SPY를 운용하고 있는 SPDR이라는 회사에서 운용하고 있는 상품입니다. 이 ETF는 실물 금에 직접 투자를 하기 때문에 ETF 투자자 들이 실물 금괴의 구매, 보관, 보험의 어려움을 줄여 주었습니다.

 

 

 

 

 

말 그대로 실물 금 ETF에 직접 투자 하였기 때문에 포트폴리오 비율은, 당연히, 금 100% 입니다.  

여기서 금의 시세와 GLD의 순자산 가치(NAV) 국제적인 표준시세로 인정되고 있는 런던귀금속시장협회 (LMBA, London Bullion Market Association) 의 시세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금의 현물 가격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추가개념 설명 

NAV: 

순자산가치(=청산가치). 주당순자산가치는 기업이 청산될 때 회사의 자산이 주당 얼마만큼 남는가를 알려주는 지표다. 기업의 자산(현금, 어음, 재고)에 부채(현재부채, 장기부채, 우선주, 일시차입금)를 뺀 금액으로 계산한다. 보통 대부분의 펀드들은 하루에 한 번 공시되는 펀드의 순자산가치에 의해 기준가격이 결정되고 이 기준가격으로 펀드의 매입과 환매가 이루어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매일경제, 매경닷컴)

 

가격과 수익률

 

 

 

 

현재 시세가 어떻게 형성되어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 시세는 미국 시간 21월 4월 16일 11:38 AM 기준으로 166.60 달러 입니다. 금의 시세는 경기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통 경기가 안좋으면 금의 시세가 상승하고 경기가 좋으면 금의 시세가 하락하는 양상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21월 4월 16일 저녁 8시 기준으로 기준 환율은 달러 당 1115.50원을 기록 하고 있고 이 환율을 적용해 원화로 환산해보자면 18만 6000원 정도에 해당하는 금액 입니다. 

 

 

이번엔 수익률을 한번 보겠습니다. 수익률은 장기적으로 보자면 1년에 6.4% 3년에 9.2% 5년에 6.8% 그리고 10년에 1.4% 정도를 기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세부정보( 시총, 수수료율) 

GLD의 시가 총액은 21년 4월 16일 기준으로 573억 3천만 달러 입니다. 원화로 하면 대략 64조원 규모의 ETF입니다. 

 

수수료율은 0.4%로 ETF 치고는 상당한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정리

GLD ( SPDR Gold Trust ) 

 

회사: SPDR

시세 (4월 16일 기준): 166.60 달러 = 18만 6천원

수익률: 1.37% (최근 10년)

시가총액: 573억 달러 = 64조원

수수료율: 0.40%

보유종목: 금 100%

 

마지막으로 투자에 대한 판단은 본인이 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