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한국 가상화폐 거래소(수수료, 계좌개설, 입금방법, 출금방법)
이번 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가상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업비트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1. 업비트에 대한 기본 정보
- 업비트는 '두나무(주)'라는 회사에서 관리를 하고 있으며 강소기업으로 분류가 되고 있습니다.

관련된 회사나 기관은 다양하지만 굳이 꼽으라면 '카카오'와 '케이뱅크'가 가장 연관성이 크다고 봅니다.
(글 중간에 나오겠지만 이 두 기업과는 입급/출금/보안/인증 등에서 큰 연관성이 있기 때문)
흔히들 한국 가상화폐 거래소 3대장 하면 '빗썸, 업비트, 코인원'으로 알고 있고 그 중에서 굳이 순위를 매기면 빗썸 다음 업비트 순으로 꼽는 분들이 많은데요..
근데 코인힐스에서 제공하는 거래량 데이터를 보면 빗썸보다 업비트의 거래량이 더 많습니다.


물론 거래량 순위는 언제든 뒤집힐 수 있지만 앞으로도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업비트가 빗썸보다 거래량이 더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 차이 또한 벌어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조금 이따가 알아보도록 하죠!)
2. 업비트 가입방법
- 가상화폐에 어느정도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가입방법과 레벨 인증을 다 아시겠지만 그래도 코린이 분들이 있을 수도 있으니까 감안해서 간단하게 가입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a. 구글 플레이스토어/애플 앱스토어 에서 업비트를 검색해서 다운로드 받는다.
b. 업비트 설치 후 맨 처음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카카오계정으로 시작을 누르시고 카카오 연동에 대해서 확인 체크만 하면서 가이드를 따라가면 어렵지 않게 가입 가능합니다.
(물론, 카카오 계정이 없다면.. 으음 그건 생각해보지 못했습니다 ㅠ 만약 없으시면 카카오 계정을 만드시고 나서 가입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c. 가입 후 디지털 자산에 대한 입금 및 출금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4단계 정도까지는 인증을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1단계: 이메일 인증
- 2단계: 휴대폰 본인인증
- 3단계: 입출금 계좌인증
- 4단계: 2채널 추가 인증(카카오페이 인증 추천)
이때 3단계 입출금 계좌 같은 경우 현재는 케이뱅크만 가능하므로 케이뱅크가 없으시다면 우선 케이뱅크 계좌개설을 먼저 해 주시는게 필요합니다.

온라인 전용 은행이여서 불안해 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주요 제도권 은행들(농협,기업은행,우리은행 등)과 마찬가지로 1금융권 은행이므로 그렇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온라인으로 계좌개설이 더 간단해서 저는 예전에 개설할때 편했던 기억이 납니다.
(다음에 케이뱅크 계좌 개설에 대해서도 글을 쓰려고 하는데 일단 당장 급하시다면 다른 블로거 분들의 글을 참고해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ㅠ)
4단계 2채널 인증은 아무래도 보안 때문에 하는 것이 좋아보이고 만약 4단계 인증을 안하면 약간의 제약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5단계 거주지 인증이 있는데 수십억을 하루에 입출금 하실 것이 아니라면 큰 상관 없을거 같습니다.
(5단계는 한도 상향에만 관련이 있어서.. ㅎㅎ)

참고로 4단계 인증을 하지 않으면 한화 입금이 불가능합니다.
(가상화폐만 입금 가능, 그래서 4단계 인증까지는 추천)
3. 원화 입금 및 출금방법
- 업비트 어플에서 입출금을 클릭하시면 원화 목록이 있고 클릭하시면 다음과 같이 입금하기와 출금하기가 뜹니다.

입금하기/출금하기를 통해 금액 입금 및 출금이 가능하며 2단계 카카오 인증을 설정해 두셨다면 카카오에서 한번 더 입금 및 출금 인증을 하여 입출금을 하실 수 있습니다.
4. 수수료
- 사실 가상화폐 거래소를 선택할 때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수수료'입니다.
업비트의 수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a. 가상화폐 구매 수수료; 0.05퍼
-> 다른 거래소에 비하면 수수료가 저렴한 편입니다.
다만 여러가지 수수료 감면 쿠폰 또는 바이낸스 처럼 많은 거래를 하면 수수료가 낮아진다거나 하는건 없습니다.
그냥 깔끔하게 0.05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b. 원화 출금 수수료: 1000원
-> 얼마를 인출하시든 무조건 출금 수수료 1000원입니다.
빗썸도 동일합니다.
c. 가상화폐 전송 수수료; 가상화폐 마다 다름
-> 가상화폐 전송 수수료 같은 경우는 거래소와 상관없이 각 가상화폐 별로 수수료가 정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은 수수료가 0.0009BTC이고 이더리움은 0.01ETH입니다.
(한마디로 거래소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작성자의 총평>

- 업비트는 기본적으로 카카오라는 대기업과 연관이 되어 있고 거래량도 안정적이며 어플도 깔끔한 편입니다.
- 구매 수수료가 0.05퍼로 비교적 낮아서 소액으로도 수수료 부담 없이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대량 매매 같은 경우는 바이낸스나 빗썸 등에서 수수료 혜택을 받아서 하는게 이득일 수 있지만 큰 금액이 아니라면 업비트가 나아보입니다.)
- 케이뱅크만 가능하다는 것이 조금 아쉽지만 1금융권 은행 중에서 계좌개설을 온라인으로 빠르게 할 수 있는 편이라는 점에서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tmi; 다른 한국 가상화폐 거래소도 그렇지만 업비트에도 흔히 말하는 '세력주', '작전주'가 존재하므로 '잡코'라고 불리는 시총 낮은 알트코인의 물타기를 주의하면서 투자를 진행하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이 글을 보시는 가상화폐 투자하시는 모든 분들이 성투하시면 좋겠네요~!!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트 코인 시세 및 전망 ('비트코인' 가격과의 관련성) (2) | 2021.02.08 |
---|---|
디파이 코인 '체인링크(LINK)'시세와 전망[feat. 구글] (3) | 2021.02.08 |
알트코인의 대장 '이더리움(ETH)' 코인 시세 및 전망 그리고 cme 선물 상장 (2) | 2021.02.06 |
[후오비 스마트체인 파트너] aibox 무료 핸드폰 채굴 어플 소개 (5) | 2021.02.05 |
폴카닷 코인(DOT) 특징 및 현재 시세와 전망 <디파이 시장> (5) | 2021.02.03 |